중소기업이 유럽연합(EU) 공급망 실사와 글로벌 ESG 규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ESG 통합 솔루션'이 구축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이 ESG 규제를 대비할 수 있도록 'EU-ESG 통합 솔루션' 구축에 착수했으며, 이를 위한 연구용역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이는 2027년부터 EU로 일정 금액 이상 수출하는 기업이 공급망 내 협력사 ESG 수준을 평가받아야 하는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EU에 수출하는 기업들은 협력사의 ESG 리스크를 관리해야 하며, 국내 중소기업도 글로벌 기업과 거래를 유지하려면 ESG 평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ESG 실사를 받지 못하면 EU 시장에서 퇴출당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실천하고 글로벌 ESG 규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이를 위해 국내 원청기업과 글로벌 기업의 ESG 경영전략과 공급망 평가항목을 분석하고, 기존 ESG 체크리스트(2.0, 3.0 버전)를 고도화해 산업별 특화 지표를 추가할 계획이다.
또 ESG 평가기관 및 글로벌 ESG 이니셔티브를 조사해 국내 중소기업이 국제 기준에 맞춰 ESG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지표를 개발하고, 기업들이 스스로 ESG 수준을 점검할 수 있도록 ESG 자가진단 시스템을 개선한다.
중소기업이 ESG 실사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ESG 체크리스트를 영문으로 번역·공증하고, 실질적인 대응 전략을 제공하는 경영안내서를 제작한다.
아울러, 전문가 교육 및 현장 컨설팅을 통해 ESG 체크리스트 활용도를 높이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ESG 자가진단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며 중소기업 지원 정책과 연계해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글로벌 ESG 규제 대응력을 높이고, ESG를 경영 전략으로 활용해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중기부 관계자는 “EU 공급망 실사지침에 맞춰 중소기업이 대응할 수 있도록 ESG 체크리스트를 고도화하고 맞춤형 지원 체계를 마련할 것”이라며 “이번 시스템 구축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ESG 규제 변화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